본문 바로가기
역사 레포트 정리

일본의 한국 불교 지배와 원종종무원의 설립

by 씨리브로스파파 2025. 3. 29.
반응형

일본의 한국 불교 지배와 원종종무원의 설립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는 한국을 통제하기 위해 통감부를 설치하고, 1906년 ‘종교의 선포에 관한 규칙’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일본 사찰이 한국 사찰을 지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일부 한국 사찰은 일본 사찰의 말사(末寺)가 되는 ‘관리청원’을 신청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사찰은 의병 활동의 근거지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일본군과 헌병의 탄압을 피하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본군이 사찰에 피해를 준 기록도 남아 있어 단순히 보호를 위한 조치였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한편, 일본 불교계는 한국 불교를 장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주요 한국 승려들을 일본으로 초청해 시찰 기회를 제공하고, 1908년에는 원종종무원을 설립해 일본 조동종과의 관계를 강화했습니다. 당시 일본인 승려 무전범지가 원종종무원의 고문으로 활동하며 한국 불교를 일본 불교에 병합하려 했습니다.

 

결국 1910년 10월, 한국 원종종무원과 일본 조동종 간의 연합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사찰들은 일본 불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이는 단순한 종교적 영향력을 넘어 한국을 병합하고 만주까지 침략하려는 일제의 계획과 맞물려 있었습니다.

 

이러한 일제의 불교 정책은 한국 불교의 자주성을 억압하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공고히 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반응형